1.소프트웨어 설계
1.4 인터페이스 설계
1.4.3 인터페이스 대상 식별
- 인터페이스 대상 식별
1. 시스템 아키텍처
1.1 시스템 아키텍처 개념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는 프레임 워크이다. 시스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의 각 컴포넌트가 무엇이며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정보가 어떻게 교환되는지를 설명한다.
1.2 시스템 아키텍처의 기본 요구사항
- 시스템 구성 및 동작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 시스템 구성 요소(부품)에 대해 설계 및 구현을 지원하는 수준으로 자세히 기술된다.
- 구성요소 간의 관계 및 시스템 외부 환경과의 관계가 묘사된다.
- 요구 사양 및 시스템의 전체 수명주기를 고려한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논리적인 기능 체계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 방식. 시스템의 전체적인 최적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1.3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설계작업이 있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아키텍처 설꼐에 제약을 주는 상위설계로서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설계가 있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제약 안에서 세부적인 설계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소프트웨어 상세 설계가 있다.
- 이들 세가지 설계는 일반적인 설계활동의 하나로서 설계가 갖는 일반적인 특성을 공통적으로 갖는다.
그러나 시스템 아키텍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지칭하며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결정을 제약하게 되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는 소프트웨어 상 세설계의 결정을 제약하는 각기 다른 수준의 설계를 의미한다. 위 그림에서 화살표의 굵기는 영향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2. 인터페이스 시스템
2.1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개념
시스템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크게 송신시스템과 수신시스템, 연계방식에 따라 중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1. 송신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할 데이터를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시스템이다.
2. 수신 시스템
수신한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의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3. 중계 시스템
송신시스템과 수신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 하고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다.
2.2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인터페이스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규격화된 표준 형식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인터페이스 설계 단계에서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표준 항목과 업무 처리 데이터, 공통 코드 정보 등을 누락없이 식별하고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작성해야 한다.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는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을 포함하며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는 송/수신 시스템에서 업무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전송 데이터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종료를 나타낸다.
2.3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처리 흐름
송신시스템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여 연계서버에 전달하면 연계서버는 목표시스템에 데이터를 연계 전송한다.
연계서버는 시스템간 연계상태와 데이터의 송/수신 오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해당하는 조치를 수행한다.
오답 풀이
모두 정답~~~~!!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11일차 (0) | 2021.01.19 |
---|---|
정보처리기사 10일차 (0) | 2021.01.13 |
정보처리기사 8일차 (0) | 2020.12.31 |
정보처리기사 7일차 (0) | 2020.12.29 |
정보처리기사 6일차 (0) |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