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빈 생명주기 콜백 쪽을 공부하면서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 알아보았다.
먼저 라이브러리는 이렇게 분류된다.
표준 라이브러리
외부 라이브러리
표준 라이브러리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함께 제작사에서 제공되는 라이브러리를 의미한다.
별도의 설치없이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외부 라이브러리?
표준 라이브러리와 달리 별도의 파일을 설치하여야 사용할 수 가 있다.
외부라이브러리는 누구나 개발하여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공유된 라이브러리를 사용 할 수 있다.
왜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면 외부라이브러리에 사용을 하지 못하는 것일까?
gradle을 예로들면 수정할 수 없는 외부라이브러리 이다.
테스트를 한다고 하면 테스트 코드를 짜면서 직접 @Bean으로 등록할 때 해당,
라이브러리에 있는 클래스 안에 있는 메서드를 파악하고 빈으로 직접 등록하여 초기화, 종료 할 수 있다.
그러나 애너테이션은 코드에 @을 붙여야하는데 코드를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가없는 것이다.
'실수, 궁금증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바인딩에 관한 궁금증 (2) | 2023.08.21 |
---|---|
http persistence connection 과 thread pool with(SSE) (0) | 2023.05.23 |
BFS의 (가중치가 동일할때)최단경로의 이유? (0) | 2021.09.03 |
@Autowired 필드 명, @Qualifier OCP위반??? (0) | 2021.08.18 |
중첩 반복문 탈출 관련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