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도메인 요구사항

회원을 가입하고 조회할 수 있다.

회원은 일반과 VIP 두 가지 등급이 있다.

회원 데이터는 자체 DB를 구축할 수 있고, 외부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lecture/55335?tab=note&speed=0.75

 

회원 도메인을 먼저 설계해본다!

클라이언트가 회원 서비스를 호출하는데 회원가입과 회원조회 두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회원 저장소라는 것을 별도로 만드는 이유는 회원 데이터를 어떻게 할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lecture/55335?tab=note&speed=0.75

 

실제 구현레벨로 내려오면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그려진다.

MemberService를 인터페이스로 만들고 MemberServiceImpl 구현체를 만든다.

MemberRepository는 회원 저장소 역할을 한다.(인터페이스)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lecture/55335?tab=note&speed=0.75

회원 객체 다이어그램이다.

실제 서버에 올라오면 객체간에 참조들이 어떻게 되는지

그린 다이어그램이다. 클라이언트는 회원서비스 구현체를 바라보고

회원서비스 구현체는 메모리 회원 저장소를 바라본다.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실제 서버를 실행하지 않고 클래스들을 분석해서 볼 수 있다.

동적으로 결정되는 (서버가 뜰때) 클라이언트가 실제사용하는 것을

객체다이어 그램으로 표현한다.

+ Recent posts